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 "울산 ARC, 연 7천억 매출에 3천억 이익낼 것"
상태바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 "울산 ARC, 연 7천억 매출에 3천억 이익낼 것"
  • 박주범
  • 승인 2023.11.15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4일 서울 SK그린캠퍼스에서 진행된 SK지오센트릭 기자간담회 전경

SK지오센트릭은 15일 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 착공에 앞서 전날 14일 서울 종로구 SK그린캠퍼스에서 사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을 비롯해 파트너사들인 캐나다 Loop 다니엘 솔로미타(Daniel Solomita) CEO, 미국 PCT 더스틴 올슨(Dustin Olson) CEO, 영국 플라스틱에너지 잉 스테이튼 (Ying Staton) 부사장 등 경영진들이 참석해 울산 ARC를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4사 경영진은 관련 산업이 중국의 범용 제품 생산 증가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환경에 기여하면서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규사업을 적극적으로 함께 추진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지난 14일 서울 SK그린캠퍼스에서 진행된 SK지오센트릭 기자간담회에서 나경수 사장이 최태원 SK 회장의 서든데스(Sudden Deatf)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나경수 사장은 “화학산업의 위기가 거론되는 시기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플라스틱 재활용 핵심기술을 보유한 울산 ARC를 통해 국내 화학산업의 르네상스(Renaissance)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대한민국 최초의 화학공장인 납사분해설비(NCC)를 선제적으로 가동중지했던 일을 설명한 나 사장은 “글로벌 경기에 따른 수익성 변동이 큰 사업에서 벗어나 우리 힘으로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사업에 대한 갈증이 있었다“며 “견고한 매출을 내던 공장을 끄는 두려움이 있었지만, 그보다 변화에 대한 확신이 컸기에 내린 결정”이라고 밝혔다.

울산 ARC는 세계 3대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한 곳에 구현해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플라스틱을 전혀 쓰지 않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현명하게 쓰는 방법을 찾자는 의미다.

공장이 가동되면 매년 32만톤 규모의 폐플라스틱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한 해 동안 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플라스틱 350만톤의 약 9% 수준이다. 

나 사장은 “아직 공장을 짓기도 전이지만 글로벌 고객들의 요청으로 생산 물량의 30%가량이 이미 선판매 단계”라며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수요가 공급보다 앞서는 시장이며 빠르고 확실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Loop Industry) 다니엘 솔로미타 CEO는 “화학 제조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SK지오센트릭은 루프에게 이상적인 파트너”라고 말했다. Loop는 큰 분자 덩어리의 중합을 해체해 기초 원료물질로 되돌리는 해중합 기술로 페트(PET)를 재활용한다.

미국 퓨어사이클테크놀로지(PCT, PureCycle Technologies) 더스틴 올슨 CEO는 “한국은 PCT의 기술 시설을 구현하기에 최적의 지역이라 판단한다”며 “회사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저해하는 잔여물을 완벽히 제거해 신규 제품에 ‘준하는’ 수준이 아니라 구별이 불가할 정도로 동등한 품질의 초고순도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영국 플라스틱에너지(PE, Plastic Energy) 잉 스테이튼 부사장은 “울산ARC 구축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이 전 세계를 선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매립, 소각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재활용을 위해 화학적 재활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왼쪽 위) SK지오센트릭 홍보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 (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는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 다니엘 솔로미타 CEO, 영국 플라스틱에너지 잉 스테이튼 부사장, 미국 퓨어사이클테크놀로지 더스틴 올슨 CEO

다음은 간담회에서 나온 주요 일문일답이다.

Q. 공장 준공 후 관련 매출이나 수익은 어느 정도 예상합니까?

나경수 사장: 매출은 연간 7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논의 중인 선판매 가격기준으로 계산하면 이익은 연 2500~3000억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Q. 얼마 전 실적 발표 시 울산 공장 준공 전에 제품 선판매 비중을 70% 가량 달성할 것이라고 했는데 현 상황은 어떤가요?

나 사장: 무엇보다 제품에 대한 이익을 fixed(정해 놓고)한 후 갈 것이며, 폐플라스틱 재생시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내년 이후 70% 선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Q.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이 원래 플라스틱의 품질과 차이가 있지는 않나요?

다니엘 솔로미타 CEO: 현재도 재생되는 플라스틱의 품질은 애초의 것과 동일한 품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울산 공장 제품 또한 동일한 품질을 유지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덧붙여 SK지오센트릭은 굉장합니다. 세계적인 기술을 가진 3개 회사를 한자리에 모았다는 자체가 정말 대단합니다.

Q. 플라스틱을 새로 생산하는 것에 비해 폐플라스틱 재활용이 환경친화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 않나요?

나 사장: 총 탄소발생량을 전과정평가(LCA, life-cycle assessment) 측면에서 살펴보면 소각, 매립보다 재활용하는 것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1.7배 정도 감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플라스틱을 새롭게 생산하는 것보다는 (친환경성을) 적게 또는 최소한 동등한 수준으로 하려고 합니다. 전문기관의 검증을 거쳐야겠지만 지금 예상컨데 (탄소발생량 등이) 70~80% 수준 정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더스틴 올슨 CEO: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은 이산화탄소를 약 35% 감축하는 효과를 갖고 오고, 사용하는 에너지 측면에서는 38% 정도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솔로미타 CEO: 울산 ARC 공장이 운영되면 연 20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Q. 재활용 생산비용 측면에서 고비용은 아닌가요? 그리고 가격경쟁력은 어떨까요?

나 사장: 기존 설비보다는 공장 새로 짓는 비용이 더 큰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니 원재료비는 훨씬 저렴해지고, 이산화탄소 발생이 적고 에너지를 덜 쓰니 운영관리비용 측면에서 저렴합니다. 이런 점들을 살펴보면 가격경쟁력은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소비자가 많이 찾는다면 제조사들도 많이 찾을 것이고, 이런 선순환 구조가 생기면 가격경쟁력은 더 커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왼쪽부터)미국 퓨어사이클테크놀로지 더스틴 올슨 CEO, 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 다니엘 솔로미타 CEO, 영국 플라스틱에너지 잉 스테이튼 부사장 

Q. 관련 산업이 커지면 중국 등이 뛰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여러 사례에서 보듯 그렇게 되면 가격경쟁력이 하락하고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나 사장: 세계적으로 폐플라스틱 재활용 제품을 생산, 판매하려면 전과정평가(LCA) 데이터가 있어야 합니다. 중국 등 신흥국들은 이 LCA 데이터가 충분치 않으며, 이를 단기간 내에 확보하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잉 스테이튼 부사장: (이런 측면에서) 울산 ARC는 무척 중요합니다. 해당 산업의 모범이자 모델이고 글로벌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울산공장이 앞으로 미래에 가고자 하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기에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버전 1.0'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Q. 울산 공장 건설 등 관련 비즈니스를 진행하기 위한 자금조달은 충분한가요?

나 사장: 자세히 전하기는 어렵습니다만 국내 사업을 위한 자금은 모두 확보한 상황입니다. 현재로서는 오히려 글로벌 확장을 위한 자금조달에 신경쓰고 있습니다.

참고로 울산 ARC에 적용되는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열분해 및 후처리 기술' '고순도 PP추출' '해중합 기술' 등이다.

열분해는 비닐 등 플라스틱을 300~800℃의 고온으로 가열해 인공 원유로 되돌리는 기술이다. 라면봉지 등이 에너지 자원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열분해로 만든 원유인 열분해유는 추가적인 후처리 과정을 거쳐 나프타(Naphtha), 경유 등으로의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환경과학기술원에서 개발한 이 후저리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SK가 실증사업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고순도 PP 추출은 폐플라스틱을 용매에 녹여 고온 고압 상태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해 순수한 폴리프로필렌(PP)을 추출하는 기술이다. 복합 재질은 물론 오염된 소재도 재활용할 수 있다. 

해중합 기술은 유색 PET병, 폴리에스터 원단 등 플라스틱을 이루는 큰 분자 덩어리의 중합을 해체시켜 기초 원료 물질로 되돌리는 기술이다. 투명한 페트병만 재활용했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박주범 기자 kdf@kdfnews.com


관련기사
더보기+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