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美↔中 갈등과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세계 경제 질서 변화 가져올 것...글로벌 경제 성장률 5.9% 전망 [글로벌포커스]
상태바
KIEP, 美↔中 갈등과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세계 경제 질서 변화 가져올 것...글로벌 경제 성장률 5.9% 전망 [글로벌포커스]
  • 민병권
  • 승인 2021.05.11 1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원장 김흥종, 이하 KIEF)이 2021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5%에서 5.9%로 상향 조정했다고 11일 밝혔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은 4.3%로 전망했다. 

KIEF는 "코로나19 백신의 보급·접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경기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세계경제는 완연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라며, "하지만, 선진국과 신흥국 간 회복속도의 불균형, 인플레이션 가능성, 미중 갈등을 위시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하방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자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F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의 경우 백신의 공급과 접종자 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코로나19 충격에서 완연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으로 성장률을 상향 조정했다. 

미국은 ‘미국 구제계획(American Rescue Plan)’ 등 일련의 경기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고 ▲코로나19 백신의 공급 및 접종자 수 확대 ▲고용시장의 회복 및 민간소비 증가 △교역증가 등이 완연한 회복을 이끌 전망이다. 

유럽 주요국은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백신접종에 따른 소비확산 재개 ▲경제회복기금 (Next Generation EU) 등 재정지출을 통한 경기부양책 지속 ▲ECB의 양적완화와 저금리 정책 유지 △수출의 완만한 성장 등이 예상된다.

일본은 ▲코로나19 백신의 보급 지연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개최 여부 및 개최 형태 ▲긴급사태선언의 발령 등이 하방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충격에서는 서서히 회복할 것으로 전망

KIEF가 내놓은 신흥국 성장 전망은 다음과 같다. 

중국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에 인도, 아세안 5개국, 러시아, 브라질은 ▲코로나19 재확산 여부 ▲인플레이션 가능성 등 대내적 여건과 ▲원자재 가격 추이 ▲추가 제재 여부 등 대외적 여건에 따라서 경기회복 속도가 결정될 전망이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은 ▲백신접종 범위의 확대 ▲서비스업의 빠른 회복 ▲고용여건의 개선 등으로 2020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빠른 경기회복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인도는 코로나19 이후 세계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인도 내 재확산에 따른 봉쇄조치가 완화될 경우 코로나19 충격에서 빠른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아세안 5개국은 코로나19 이후 회복세에 진입하고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최근 백신접종의 지연과 3차 확산 등의 영향으로 경기회복 속도는 다소 느려질 전망이다.

러시아의 경우 ▲세계경제 회복세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재정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코로나19 충격에서 서서히 회복할 전망이다. 

브라질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산업생산이 감소되기는 했지만,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기회복 추세는 유지될 전망이다. 

KIEF는 세계 경제 분석 보고서를 통해 미중갈등의 지정학적 충돌과 코로나 백신 보급률에 따라 선진국과 신흥국의 양극화 현상과 세계 경제 질서 재편이라는 예상도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의 수정된 대중전략 및 그에 따른 미중 갈등과 새로운 국제질서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주요 컨설팅 회사 및 국제정세 분석기관들은 미중 갈등을 향후 주요 지정학 리스크의 핵심으로 꼽고 있다. 

미중 관계로부터 파생될 리스크 요인은 ▲자국 및 인근 국가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변화 ▲남중국해 갈등과 물류제약 ▲안보동맹 블록의 재편 ▲중국산 백신 접종자에 대한 백신 여권 불인정으로 인한 갈등 등 그 양상이 중층적이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국들로 하여금 매우 좁은 선택지만을 제공할 전망이다. 

특히, 미중의 접점인 동아시아 지역은 앞서 언급한 네 가지 리스크 요인이 모두 중첩되어 영향을 받게 되는 곳으로, 갈등 양상이 고조될 경우 그 타격이 가장 클것으로 전망된다. 

사진=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민병권 기자 kdf@kdfnews.com


관련기사
더보기+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